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동평균선 모르면 돈 잃을 수도 있다!

by Everyday Grin 2023. 8. 24.
반응형

나는 주식 초보이다. 남들이 좋다고 하는 주식 매수하였다가 물려있어서 물 타고 물 타고.. 있다.

여기서 사는 게 맞을까? 여기서 파는 게 맞을까? 이 글을 클릭하신 분들이라면 나랑 같은 주식 초보일 것이다.

 

주식공부를 하고 난 후 차트를 보니 전에 는 보이지 않았던 것들이 보였고,

유튜브로 본 주식 공부는 실제 내가 사용하기는 힘들었다.(솔직히 기억이 안 났다.)

 

여기서 적는 글 들은 내가 공부하는 것들을 정리하기 위해 적는 것이고, 혹시나 이걸 보시는 분들도 작게나마 이 글들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만약 잘못된 정보가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멍청하게 돈을 잃기 싫었다. 나처럼 주식 모지리도 이렇게 공부합니다. 

이동평균선

이동평균선이란 뭘까?

이동평균선은 특정 기간 동안의 주식 가격을 평균값을 나타낸 것이다.

이동 평균선은 줄여서 이평선이라고 부른다.

이동 평균선은 주식 가격의 변동의 흐름을 보여주는 선이며, 이를 통해 주가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아래 캡처사진 속의 줄들이 이동평균선이다.)

기술적 분석 도구라고 하는데 이걸로 어떻게 기술적 분석을 할 수 있는지는 아래에 설명 예정.

이동평균선은 주식 시장에서 주가의 방향성과 추세를 분석하는 데 활용된다.

다른 이동평균선들을 함께 사용하여 교차점을 분석해 매수와 매도 시점을 결정하기도 한다.

여러 가지 전략들이 있는데 아래에 설명 참조!

이동 평균선 종류? 분류 방법?

(위의 캡처의 왼쪽 윗부분 색으로 이평선을 분류해 놓았다.)

분류하는 기준은 어떻게 될까?

이평선은 일정 기간 동안의 평균값이라고 했다.

5일선: 5일간의 주가를 더해 5로 나눈 평균값을 연결한 선이다.

20일선: 20일간의 주가를 더해 20으로 나눈 평균값을 연결한 선이다.

주식장은 월~금요일 5일 동안 열리므로 5일은 일주일의 평균값이다.

그럼 20일은 한 달의 평균

60일은 3달의 평균

120일은 6달의 평균

240일은 1년의 평균이라고 보면 된다.

 

많이 쓰는 이평선으로는

5일, 20일, 60일, 120일, 240일이 있다.

 

이동평균선의 분류

단기이평선: 5일

중기이평선: 20일

장기이평선: 60일, 120일, 240일

 

이동평균선에서 봐야 할 것들

정배열과 역배열

정배열, 역배열

정배열: 제일 위에 단기 이평선 순서대로 있으며 맨 아래에 장기 이평선

정배열은 상승추세의 차트이다.

항상 상승만 하는 것이 아니라 조정을 받으며 유지가 될 수도 있고, 하락추세로 전환하여 역배열 차트로 바뀔 수도 있다.

역배열: 제일 위에 장기 이평선 정배열의 역순으로 맨 아래 단기 이평선

역배열은 하락추세의 차트이다.

역배열 구간이라고 이 구간이 계속 지속되지는 않을 것이다. 뚫고 올라가는 지점이 나올 수도 있다.
하지만 그 시점이 나오기 전까지는 보통 역배열 하락 추세구간에서는 매매를 잘하지 않는다.


이동평균선을 활용하여 주가를 분석할 때 확인해야 할 것들.

  1. 강세 시장에서는 주가가 이동 평균선 위에서 움직이며 상승한다.
  2. 약세 시장에서는 주가가 이동 평균선 밑에서 움직이며 하락한다.
  3. 캔들이 이동 평균선 아래로 내려간다면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
  4. 켄들이 이동 평균선을 위로 뚫고 올라간다면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5. 캔들이 이동 평균선으로부터 지나치게 떨어져 있을 때는 다시 이동 평균선으로 되돌아오는 경향이 있다.
  6. 캔들이 이동 평균선을 밑에서 위로 돌파할 때는 매수 신호, 위에서 밑으로 돌파할 때는 매도 신호가 된다.

아래 이동평균선으로 상승과 하락 예측 부분 참조! 조금 더 설명할 예정 

 

<<참고>>

 

이동평균선으로 상승과 하락 예측

 

상승예상

위로부터 단·중·장기 이동 평균선의 순으로 나란히 상승 중일 때는 안심할 수 있는 강세 국면이다. (위에서 봤던 정배열 구조이다.)

하지만 항상 상승하는 것은 아니다.

 

매수 신호

단기 이동 평균선이 아래로부터 위로 중·장기 이동 평균선을 급속히 뚫고 올라갈 때!  매수 신호!

 

단기 이동 평균선이 장기 이동 평균선을 아래에서 위로 급속히 뚫고 올라가는 상황으로 골든 크로스(Golden cross)라고도 불린다.

상승의 시작일 확률이 높다.

(위로 스크롤 해서 참고 부분 캡처해 놓은 기업들의 이평선을 확인해 보자.)

 

하락 예상

단·중·장기 이동 평균선이 나란히 하락할 때는 강력한 약세 시장일 가능성이 높다.
이 이평선이 유지된다면 역배열이 된다.

 

매도 신호

단기 이동 평균선이 위에서 아래를 향하여 중·장기 이동 평균선을 뚫고 내려올 때!! 매도신호!!

 

단기 이동 평균선이 중, 장기 이동 평균선을 위에서 아래로 뚫고 내려가는 상황으로 데드 크로스(dead cross)라고도 불린다. 

하락의 시작일 확률이 높다.

(위로 스크롤 해서 참고 부분 캡처해 놓은 기업들의 이평선을 확인해 보자.)

 

이런 신호들 외에도 바닥권과 천장권을 예상할 수 있는 신호들 등등 있다.
정리하여 다음 포스팅에서 정리.

 

BEST 매수 매도 포인트 그리고 내가 투자한 또는 투자할 주식

확인하기!

내가 이미 투자한 주식(남들이 좋다고 해서 산 그런 주식들) 그리고 투자할 주식을 내가 이용하는 증권사 앱을 통해 검색한 후

이평선들을 확인해 보자.

상승하는 이평선인지, 하락하는 이평선인지,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가 가 나왔는지! 나왔을 때 주가의 흐름이 어땠는지 확인하자.

 

모든 종목의 주식이 이 이평선들을 따르는 것은 아니겠지만,

나는 현재 위의 내용들을 공부한 후 관심 있는 종목의 차트를 자주 확인하며 소액으로 공부한다는 마음으로 연습을 해보고 있다.

 

이 글이 도움이 될지는 잘 모르겠지만 이 글을 보시는 분들도 위에서 본 내용들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면 좋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