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재무제표 알기! (모르시면 제발주식 하지 마세요)

by Everyday Grin 2023. 8. 4.
반응형

재무제표를 왜 알아할까요?

재무제표를 먼저 알아보기 전에 왜 재무제표가 필요한지 예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지내야 할 원룸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볼게요.

어느 날 친구가 본인이 아는 좋은 원룸이 있다고 소개를 해준다고 합니다.

이때 여러분은 친구가 소개해 준 그 원룸을 직접 가보고 물은 잘 나오는지, 해는 잘 들어오는지 고장 난 것들은 없는지 등등 여러 가지들을 확인을 해보시고 계약을 하실 건가요?

아니면 친구의 말만 듣고 바로 계약을 하실 건가요?

주식의 투자할 때도 이와 같습니다.

올바른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기업에 관한 공부를 한 뒤 투자를 하셔야 합니다.

우리의 소중한 돈을 투자를 하는 만큼 제대로 투자를 해야 합니다.

재무제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재무제표

재무제표란?

재무제표란 기업의 재무 보고서로 재무 상태 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에는 기업의 재무 상태를 구성하는 자산, 부채, 자본 등 기업 재무 정보를 담고 있어, 재무제표를 통해 기업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재무제표의 구성은 어떻게 되어있을까요?

1. 재무 상태 표

2. 손익계산서

3. 현금흐름표

4.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5. 자본변동표

재무제표 구성에서 나는 무엇을 확인해야 할까요?

1. 재무 상태 표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과 부채, 자본 등에 대한 표입니다.

이 표를 통해서 투자자는 기업의 자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업 자산과 부채, 자본의 변화를 확인하고, 기업의 성장 정도도 확인합니다.

2. 손익계산서

기업의 얼마를 벌어서 얼마를 남겼는지를 알려주는 표입니다.

손익계산서에서는 기업이 실제 얼마의 이익을 냈는지 확인합니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수익을 내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3. 현금흐름표

영업 활동, 투자활동, 재무활동의 현금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현금 흐름표와 손익계산서와의 차이점은 오로지 현금의 이동만 표기합니다.

현금흐름표에서는 영업활동으로 현금이 늘었다면 좋게 생각하셔도 됩니다. 하지만 투자나 자본조달 활동으로 현금이 늘어났다면 주의하셔야 하며, 현금 유동성이 부족해 유상증자 또는 사채 등으로 현금이 늘어났는지 확인합니다.

4.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작년의 이익을 어떻게 처리했는지 알 수 있는 표입니다. 얼마만큼을 주주에게 배분하였는지 등을 알 수 있습니다.

이 표에서는 잉여 현금이 늘어나는지 확인해 보시면 됩니다. 배당주의 배당이 늘어날 수도 있으며, 성장의 가능성이 있는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5. 자본변동표

자본의 변동 내역만 따로 제공하는 표입니다.

 

재무제표에서 나오는 용어 공부하기

재무제표에서 나오는 모든 용어를 알면 좋지만, 기본이지만 중요한 것부터 알아보겠습니다.

  • 자산- 회사가 가진 재산을 자산, 자본과 부채를 합한 금액
  • 자본(순자산)- 자산에서 부채를 뺀 금액
    자산이 증가한다고 하여 그 회사가 성장한다고 100%로 믿으면 안 된다.
  • 유동자산- 1년 이내로 현금화가 되는 자산
  • 비유동자산- 현금화하는데 1년 이상 걸리는 자산
  • 투자자산- 비유동자산 중에서 투자이익을 얻기 위해 보유하고 있는 자산
  • 부채- 회사가 갚아야 하는 돈을 부채라고 한다.
  • 유동부채- 1년 안에 갚아야 하는 부채
  • 비유동부채- 만기가 1년 이상 남아 있는 부채
  • 자본금- 주식회사 등의 기업을 설립할 때 투자자들이 출자하는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한 일정 액수를 의미.
    주식 발행 총수 x 액면가로 계산
  • 자본잉여금- 영업활동으로 발생한 이익 중 배당을 제외한 사내 유보금.
  • 이익잉여금- 이익잉여금은 기업의 영업활동에서 생긴 순이익. 배당, 상여 등의 형태로 유출시키지 않고 사내에 유보한 부분.
  • 당기순이익- 순수 100% 이익, 영업이익에서 금융비용과 세금 등을 뺀 금액
  • 자기자본이익률 ROE- 투자 금액 대비 얼마만큼의 수익을 내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당기순이익을 자본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해 계산하며, 값이 높을수록 효율적으로 투자하여 수익을 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 100억의 자본으로 30억의 당기순이익을 낼 경우 ROE 30% 입니다.
  • 주가수익률 PER-
    PER이 낮으면 기업의 순이익에 비해 주가가 낮다. 저평가되어 있다.
    PER이 높으면 기업의 순이익에 비해 주가가 높다. 고평가되어 있다.
  • 주당순이익 EPS
    EPS가 높으면 주가 대비 순이익이 좋다. 저평가되어 있다.
    EPS가 낮으면 주가 대비 순이익이 좋다. 고평가되어 있다.

이렇게만 아셔도 됩니다.

 

 

다음 글에서는 재무제표는 어디서 어떻게 찾아볼 수 있는지 어떻게 분석하는지 더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